[2015.11.24] 【SEESAW】쉼표와 물음표를 넘어 진정한 해답을 찾기 위해① 2020.11.17


쉼표와 물음표를 넘어 진정한 해답을 찾기 위해


함께 하는 분들 : 복동아리영농조합법인 윤정렬 대표

협동조합 ‘교육과 나눔’ 김윤정

때와 곳 : 2015년 11월 17일 오후 8시 경 / 춘천 장학리 카페


강원도 사회적경제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각계각층의 사람들이 만나

서로의 생각을 공유하고 함께 발전하는 방법을 고민하는 시간 , < 공감토크 >

이번 공감토크는 강원도 내 사회적경제조직이 중심이 된 ‘2018 겨울올림픽 대비 사회적경제 우수상품 지원 사업에 컨설턴트로 참여해 사회적경제 우수상품 개발을 위해 힘쓰고 있는 복동아리영농조합법인 윤정렬 대표 , 협동조합 교육과 나눔의 김윤정 교수와 함께합니다 .

윤정렬 대표는 복동아리영농조합법인의 대표로서 우수상품 개발과 더불어 사회적경제와 관련한 교육 및 컨설팅 등의 영역에서 열심히 활동하고 있으며 , 김윤정 교수는 한림대학교 경영학과 교수이자 협동조합 교육과 나눔의 조합원으로서 사회적경제의 발전을 위해 지역 안에서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며 의미 있는 활동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.

이번 공감토크에서는 ‘2018 겨울올림픽 대비 사회적경제 우수상품 지원 사업에 컨설턴트로 참여하게 된 계기와 함께 기업을 컨설팅하며 느낀 점과 더불어 사회적 경제 기업의 역량 강화를 위한 개선점 제안 등을 주제로 함께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습니다 .

그럼 , 공감토크 쉼표와 물음표를 넘어 진정한 해답을 찾기 위해 ”,

첫 번째 이야기를 시작하겠습니다 .


애정의 시선으로 바라보다 _ 관심

복동아리영농조합법인 윤정렬 대표 , 협동조합 교육과 나눔 김윤정


김윤정)

제 소개를 먼저 할까요 ? 저는 지금 한림대 경영학과에서 강의하고 있습니다 . 꽤 오랫동안 학생들과 강의하며 생활하고 있고요 . 그러다 약 2 년 전부터 우연히 제 나름대로 가진 고민의 끈에서 비롯돼 사회적경제 영역을 알게 됐고 , 협동조합 교육과 나눔에 참여하면서 실제로 사회적경제에 대해 공부하고 강의할 기회가 생겼고 좀더 적극적으로 들여다보는 기회가 많아졌습니다 . 사회적경제에 대해 배우는 것도 강의하는 것도 참 재밌고요 .

개인적으로 이번처럼 컨설팅 프로젝트에 참여해본 적은 없습니다 . 처음엔 생소했는데 저는 저 나름대로 이번 컨설팅 프로젝트에 참여하면서 목적이 있었습니다 . 실제 사회적경제 조직들은 어떤 상황일까 하는 궁금증을 항상 갖고 있었어요 . 사회적경제에 대해 관심을 두고 있는 사람으로서 적어도 들여다보는 정도의 공은 들여야 하지 않을까 싶어 이번 2018 겨울올림픽 대비 사회적경제 우수상품 지원사업의 컨설팅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됐습니다 .

윤정렬)

저는 복동아리영농조합법인 대표로서 5 년째 기업을 직접 운영하고 있습니다 . 농촌관광과 농산물가공 , 식품제조까지 하고 있고요 . 마을기업 컨설턴트와 탄광지역 주민창업 컨설턴트 , 농촌현장포럼에서 현장포럼 진행을 맡아 하다 보니 마을 현장에서 필요한 부분이 어떤 것인지 눈에 보일 때가 많습니다 .

제품 가공과 관련된 부분에서 제품의 질을 향상할 방법이 많고 , 제대로 된 제품이 나올 가능성이 있어 이를 직접 컨설팅을 하거나 방법을 알려드리고있습니다 .

기업에서 식품제조가공업을 받지 못하는 이유도 다양합니다 . 몇 가지 요건만 충족하면 제품화해 판매할 수 있는데 그게 잘 안 되는 기업들이 많아요 . 이러한 도움으로 좀 더 많은 농가공 제품들이 나오고 그 제품들을 시장에서 판매할 수 있다면 , 이런 작업이 꼭 필요하겠단 생각에 이번 컨설팅에 참여하게 됐습니다 .

여러 제안을 하고 제 나름대로 열심히 하다 보니 이런 사업에 참여해 함께 만들어갈 기회를 갖게 돼 감사할 따름입니다 .


내 몸에 맞는 옷을 갖추기까지




김윤정)

저는 이번 프로젝트에서 춘천과 인제 , 화천 , 홍천 등 4 개 지역의 10 개 업체를 맡아 컨설팅했습니다 . 애초에 프로젝트 취지 2018 평창동계올림픽의 특수와 사회적경제 영역의 상품을 연계해 특화하자는 것 이었 는데요 .

기업별 상황 다양한 데다 상품에 집중할 수 없는 여건 도 있어 상품을 2018 평창동계올림픽에 맞춰 상품화시키자는 계획은 사실상 어려운 점이 많았습니다 .

그래서 저 나름대로 기업을 컨설팅하면서 세 가지 방향을 잡았습니다 . 기존의 상품을 약간 다듬어 마케팅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한 꼭지고 , 또 하나는 각 기업의 내부적 측면에서 어떤 상품을 주력으로 삼을지에 대한 결정이 안 될 때 그러한 점을 잘 검토해주는 중간 작업에 치중했습니다 . 그리고 마지막 한 꼭지는 아예 조직적 측면에 대한 진단이 필요한 경우 , 어떤 방향으로 가야 할지 초점을 맞춰 컨설팅했습니다 .



예를 들어 상품화를 얘기해야 하는데 마케팅에 대한 콘셉트 자체가 없는 경우에 올림픽에 초점을 맞추면 상품을 그에 일시적으로 접목할 수는 있어도 그야말로 일회성에 끝나버릴 위험이 있습니다 . 그 상품이 어떤 상품이고 , 그 상품을 만드는 기업이 어떤 가치를 지향하는지에 대한 연관성을 찾기 힘들어질 수 있는데요 .

그런 측면에서 마케팅 콘셉트를 개발하고 제안하는 작업에 초점을 준 기업이 있는 등 각 기업의 특성과 문제점에 초점을 맞춰 그에 적합한 컨설팅 작업을 했습니다 .



윤정렬)

, 그래서 더욱 효과적인 컨설팅이 이루어지지 않았나 봅니다 .

저는 태백과 영월 , 삼척 , 정선의 4 개 지역 , 10 개 업체의 컨설팅 작업을 했습니다 .

제가 컨설팅 작업에 들어가면서 주안점을 둔 게 제품 인허가와 관련된 점, 둘째로 포장이 부실한 제품들을 어떻게 하면 리뉴얼해 매장에 내보낼지에 대한 점이었습니다 . 깔끔한 포장 디자인에 농촌다운 투박함도 좋지만 매장에 나갈 때 제품의 포장 디자인이 너무 투박스러우면 제품의 질이 떨어져 보일 수 있어 개선이 필요 니다 . 또한 , 제품의 판로개척 문제도 기업이 공통으로 겪는 문제점이고요 .

어떻게 하면 이 제품을 더 많이 팔 수 있을지 유통구조까지 함께 고려해 많은 고민을 했습니다 . 김윤정 선생님을 포함한 컨설턴트 분들이 그쪽 분야에 고민을 많이 해 좋은 아이디어를 끌어내 주셨습니다 . 이번 자리를 빌려 감사드리고요 .

잠을 자면서도 컨설팅에 대해 고민하다 보니 다양한 방법이 나왔습니다 . 저 개인적으로는 실제로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이 가장 좋은 컨설팅이라고 생각합니다 . 아무리 훌륭한 컨설팅을 제안해도 기업의 현실에 맞지 않는다면 유명무실한 컨설팅일 수밖에 없습니다 .

예를 들어 , 그 기업의 하루 제품 생산 능력이 50 개인데 하루에 500 개를 생산해야만 하는 유통구조에 맞춰 컨설팅하면 안 되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. 그 기업의 제품 생산 능력이 50 개라면 그에 맞는 판매 방법을 강구해 제안하는 게 좋은 컨설팅이라고 봅니다 . 이렇듯 현실적으로 접근해야만 기업에서도 컨설팅을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.

이처럼 다양한 기업의 실정을 고려해 컨설팅을 제안하다 보니 시장이 상당히 좁아지고 판매할 수 있는 제품도 한정적인 것이 사실입니다 . 이런 시장구조에서 어떻게 하면 많이 판매할 수 있을까에 대해 깊이 고민했습니다 .

예를 들어 말씀드리면 , 태백광산시니어의 경우 그렇게 고민하다 방법을 찾아냈습니다 . 현실적으로 제안했을 때 큰 효과가 날 수 있는 점을 찾아냈는데요 . 태백광산시니어가 지금까진 강원랜드에 모든 판매를 의존해왔습니다 . 타 제품과 비교했을 때 경쟁력이 떨어져 납품이 안 된다는 생각을 하고 계셨어요 .

하지만 제가 봤을 때 산업재해와 관계가 깊은 기업인만큼 산재를 다루는 병원들과 그 병원의 매점에 납품한다고 하면 전국의 병원 규모를 봤을 때 혁신적인 매출 증가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. 병원 측에서도 충분히 제품 입고를 고려할 만하고요 .

이처럼 각 기업의 실정에 맞는 , 현실적으로 충분히 도움이 될 만한 컨설팅 작업을 하려고 많이 노력했습니다 .


깊은 고민의 시간 , 그리고 시작된 작은 변화



김윤정)

, 좋은 말씀입니다 . 기업과 그 기업의 제품이 시장구조 안에서 경쟁력 있게 우뚝 설 수 있을 만한 끈을 찾아내는 게 참 중요한 것 같아요 .

사실 짧은 시간에 10 개 기업의 컨설팅을 하는 게 기본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는 작업과정이었습니다 . 그런데도 재밌는 건 프로젝트 진행되는 동안에는 머릿속에 그것만으로 꽉 차더라고요 . 밥 먹고 씻으면서도 이 기업엔 어떤 자원이 있을까 ? 이 기업에 어떤 지원을 연결하면 좋을까 ? 이 기업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는 무엇일까 ? 이 제품은 어떤 관점으로 봐야 할까 ? 꼬리에 꼬리를 무는 생각과 고민이 항상 생활 속에서 그림자처럼 저를 따라다녔습니다 .

더불어 제가 대학교에서 강의하는 과목이 경영전략인데 이번 컨설팅 프로젝트를 통해 제가 이론으로만 가르치던 내용을 실제로 모처럼 요긴하게 써먹었다 , 이론을 실천할 수 있었다는 점이 정말 의미 깊고 , 제일 재밌었습니다 .

또 하나 기업을 컨설팅하며 느낀 점이 있습니다 . 제품은 다른 관점에서 보면 기업의 하나의 중요한 결과물로 볼 수 있습니다 . 기업이 왜 만들어졌고 어떤 활동을 해서 그 결과물로 제품을 만들게 됐는지 하나의 열매로 볼 수 있는데 , 그 뿌리가 어디에서부터 시작되고 어떤 상태인지 잠시 잊어버린 과정이 보였습니다 .

컨설팅하기에 앞서 기본적으로 그 기업을 진단해 보면 그 기업의 기반에 , 가장 맨 밑에 어떤 가치가 깔렸는지 , 어떤 과정으로 이 기업이 자라나고 어떠한 시간을 거쳐 열매가 맺혔는지 하는 게 눈에 보여야 그 제품을 설명할 수 있는 루트가 생깁니다 . 그래서 살펴봤더니 생각과 달리 제품보다 오히려 그 제품을 뒷받침하는 과정에서 대단히 큰 자원이라든가 경쟁력이 보이는 기업의 사례를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.

컨설팅하면서 제일 조심스러운 부분 중 하나가 일단 저는 밖에서 보는 관점 , 제삼자의 입장에서 그 기업의 단편적인 면을 조금 들여다본 뒤 바로 작업에 들어가야 한다는 점이었습니다 . 그것도 처음 한 번 방문해 기업의 현황에 관해 얘기 나누고 , 두 번째 방문해 바로 제안서가 나오는 형태가 되다 보니 과연 이런 작업들이 얼마나 이분들께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인가 고민이 됐습니다 .

심지어 그분들이 생각하는 대로 제대로 기업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 해결책에 접근할 수 있을까에 대해서도 고민했고요 . 아무리 제가 그동안 가진 경험에 비춰 좋은 아이디어를 내세워도 윤정렬 대표님 말씀처럼 상황에 맞지 않거나 기업의 상황에 너무 버겁거나 기업의 구성원들이 공감하지 못하는 내용 , 그분들이 생각하는 방향에서 벗어나는 컨설팅 , 그런 것에 대해서 내가 어느 정도까지 책임지고 설득해야 하는 것인가 , 하는 점이 부담스럽기도 했습니다 . 그래서 제가 모든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를 버리고 컨설팅의 한계에 대해 직시하고 경계하게 됐습니다 .

이번에 작업한 기업들도 처음에는 큰 기대를 하지 않 습니다 . 컨설팅 작업이 끝날 때쯤 각 기업에서 전체 워크숍을 한다거나 전체 교육이나 회의할 때 제가 컨설팅 작업했던 내용의 자료를 모두 보내드리고 공유가 필요하면 구성원들이 다 모이셨을 때 가서 함께 대화하는 시간을 갖고 있습니다 .

왜 이런 내용을 제안하게 됐는지 , 이러한 컨설팅이 조직 안에서 생각한 내용과 잘 맞아떨어지고 공감이 가는지에 대해 여쭙고 각 기업의 구성원들이 가진 문제점과 일치하는지 여부에 대한 작업들을 조금씩 하고 있는데 다행히도 지금까지 대화한 몇몇 기업들이 상당히 흡족해하시거나 굉장히 큰 도움이 됐다는 반응을 보여주고 계십니다 . 매일 머릿속에 컨설팅에 대해 생각하고 지낸 시간들이 헛되지 않았고 각 기업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 수 있어 조금이나마 힘을 얻고 있습니다 .

윤정렬)

좋은 반응을 보여주신다니 다행입니다 . 김윤정 선생님처럼 저도 이번 컨설팅 작업을 하면서 고민을 좀 더 많이 했던 것 같아요 . 정말 머리가 아플 정도로 어떻게 하면 더 좋은 컨설팅을 할 수 있을지 고심했고요 . 컨설턴트로서 이러한 고민의 과정은 꼭 필요하다고 봅니다 . 컨설턴트로서 그 기업에 진심과 애정을 갖고 컨설팅에 임하는 것과 형식적으로 하는 것은 정말 큰 차이가 있습니다 .

컨설팅 대상기업들에 도움이 되기 위해 고민하다 보니 결국 어떠한 컨설팅을 하더라도 이것을 기업의 리더가 수용할 수 있느냐 없느냐에 큰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점도 느꼈습니다 .

컨설팅을 기업의 현실에 맞게 받아들여 하나의 의미 있는 결과로 만들 수 있는 곳이 있는가 하면 어떠한 좋은 컨설팅이라도 마냥 흘려듣고 어떠한 변화도 만들지 못하는 곳이 있습니다 .



예를 들어 , 제품의 원재료 한 가지만 중국산이 아닌 국산으로 사용하면 정말 명품으로 탄생할 수 있는데도 단지 단가 때문에 국산은 쓰지 못한다고 고집하는 기업이 있습니다 . 그러한 경우 그 단계에서 성장이 정체될 수밖에 없습니다 .

이럴 때 정말 아쉬움을 많이 느낍니다 . 왜 저렇게 마음의 문을 닫고 시도조차 하려 하지 않을까 , 왜 가능성을 보려 하지 않을까 하는 아쉬움입니다 . 이런 아쉬움에 최대한 단가를 맞출 수 있게 구체적으로 방법론을 제시하기도 합니다 . 이렇게 하면 저가의 국산재료를 확보해 사용할 수 있는데 검토해보시죠 , 해도 검토조차 하지 않고 이래서 안 된다고 딱 잘라버립니다 . 이러한 반응에는 아무리 컨설턴트라도 더는 할 수 있는 일이 없죠 . 정말 안타까운 일입니다 .

김윤정)

저도 그 부분이 참 아쉬워요 . 컨설팅하면서 살펴보면 기업의 대표가 스스로 우리가 할 수 있는 부분은 여기까지 , 라고 선을 긋는 순간이 간혹 느껴지곤 합니다 . 조금 다르게 생각해 까짓거 해보자 , 생각하고 실험해볼 만한 , 도전적인 마음이 좀 더 있다면 좋겠다는 생각입니다 .

이와 함께 기업의 전체 조직으로 봤을 때 대표님과 몇몇 분들만 기업을 끌고 가려는 열정이 보일 뿐 나머지 구성원들의 열정이 보이지 않고 회의적인 사고가 보일 때가 많은데 , 이런 경우도 참 안타까운 것 같아요 . 아주 작은 생각의 차이 , 관점의 차이가 큰 변화와 가능성을 불러올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하셨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.


내실을 다지는 시간


김윤정)

기업 분들과 직접 만나면서 현장에서 느낀 것 중 하나가 기업 안에 도움이 필요한 곳이 분명 산재해 있는데 이러한 점들 가닥이 잘 잡혀 있지 않다는 이었습니다 .

외부로부터 도움이나 지원 , 교육을 받는다 하더라도 문제점의 카테고리나 우선순위의 정도가 모두 다른데요 , 예를 들어 판로개척에 대한 문제를 함께 풀어보려고 하는데 제품 자체가 잘 다듬어있지 않은 경우라던가 , 이 제품에 대한 콘셉트가 없는데 포장지원사업을 받는 경우 등 순서가 뒤바뀐 경우가 있는 것 같습니다 . 이런 경우가 생겼을 때 비용 면에서 예산이 낭비될 위험이 있기도 하지만 기업의 측면에서 보더라도 굉장히 수고스러운 일이거든요 .

기업 측에서 실제로 이러한 업무에 대한 정리가 안 된 상태에서 여러 지원사업을 받으려다 보니 전반적인 생산에까지 안 좋은 영향이 미치기도 합니다 . 필요하지 않은 지원사업을 가려내는 능력부터 내부적으로 고민할 수 있게끔 하는 코치도 필요하겠다는 생각입니다 .

기업에서 지원이나 도움을 받는다 해도 어떤 경로를 통해 어느 선까지 받을 것인가 , 하는 점과 도움과 의존의 선을 조절할 필요가 있는데 지금으로서는 그런 측면에 대해서 살짝 의구심이 들기도 합니다 .

윤정렬)

, 공감합니다 . 그런 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업을 담당하는 매니저가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도 들어요 .



김윤정)

, 좋은 생각입니다 . 저도 토털솔루션의 개념으로 기업에 이러한 문제가 생겼을 때 어디를 통해 어떻게 문제를 해결해 나가야 할지 전담하는 인력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.

저는 이번 컨설팅 작업을 통해 교육에 대해서도 생각하는 기회가 됐습니다 . 협동조합의 원칙 중에서도 조합원의 교육이 굉장히 강조되는데 그 중요성이 피부에 정말 와 닿은 계기가 됐어요 .

실제로 어떤 기업의 경우 , 조직 안에서 같은 마을 분들이 모여 사업을 하는데도 불구하고 모두 한자리에 모여 속을 터놓고 우리의 갈 길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 자체가 만들기 어렵다는 푸념을 들었을 때 교육은커녕 이분들끼리의 친목을 위한 소통의 기회가 필요하구나 , 하는 생각이 절실하게 들었습니다 .

그리고 또 하나 , 교육한다 하더라도 대부분 교육지원사업을 하면 외부에서 기업으로 찾아가 일시적으로 교육하는 형태가 많은데 , 거기서 조금 더 고민해 교육에 대한 콘텐츠를 그 기업이 자산으로 가질 수 있게끔 남겨주는 지원이 늘어나면 어떨까합니다 .

예를 들면 , 협동조합 교육과 나눔에서 교육을 한다 하면 그 교육을 콘텐츠화한 내용을 실제 조직에서 실무 담당자 등 특정 인력에게 그 내용을 전수하는 겁니다 . 교육의 내용을 내부교육으로 스스로 상황에 맞게 재해석하고 , 재가공해 상시로 내부교육 할 수 있게끔 하는 그러한 지원도 필요하겠구나 ,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.

결국 , 갈등의 문제나 구성원들끼리의 공유에 대한 문제를 풀어나가려면 교육을 통해야 한다고 봅니다 . 근본적으로 함께 움직이는 힘을 만들려면 교육이 필요한데 그 교육을 외부에 의존하는 것에서부터 하나하나 내부로 끌어들이는 방향을 차츰 제시해야겠구나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.



- ‘2018 겨울올림픽 대비 사회적경제 우수상품 지원 사업에

컨설턴트로 참여하게 된 계기와 함께 기업을 컨설팅하며 느낀 점과 더불어

사회적 경제 기업의 역량 강화를 위한 개선점 제안 등을

주제로 함께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습니다 .

컨설턴트가 생각하는 좋은 컨설팅의 의미 , 실제 기업의 컨설팅 사례 ,

컨설턴트의 역할과 사회적 경제 기업에 바라는 점 등에 대한

이야기는 다음에 이어집니다 .

12 월 둘째 주에 블로그를 통해 업데이트되는

쉼표와 물음표를 넘어 진정한 해답을 찾기 위해

두 번째 이야기에도 많은 관심을 부탁드립니다 .



< 협동조합 교육과 나눔 >

사회적경제와 관련한 상담 , 교육 , 컨설팅 등 현장 경험이 풍부한 조합원 20 여 명이 뜻을 같이한 교육 협동조합입니다 . 교수 , 연구원 , 기업 대표 , 활동가 등 사회적경제 조직의

건강한 성장을 바라는 다양한 사람들이 함께하고 있으며 , 사회적경제의 교육영역에서 앞으로도 더 많은 활동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.

- 주 소 : 춘천시 국사봉길 12 9호
- 연 락 처 : 010-2750-8190

< 복동아리영농조합법인 >

2011 년부터 영농조합법인을 설립해 농산물 가공과 농촌관광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삼척시 제 1 호 마을기업으로 지정되어 운영 중입니다 . 수수조청과 수수차 , 잡곡과자를 만들고 있으며 복동아리 체험관에서 수수엿 체험을 비롯한 건강체험을 즐길 수 있으며 2013 년부터 솔밭 미니캠프장을 함께 운영해 자연 속의 쉼터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.

- 주 소 : 삼척시 가곡면 가곡천로 681-13

- 연 락 처 : 033-572-7178



출처:

https://gwse.tistory.com/3326

[강원도사회적경제이야기]